아라미드 나노섬유(ANF) 막은 그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넓은 응용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이 분야의 연구 초점이자 주요 과제는 기계적 강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면서 열전도도를 낮추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방법들은 ANF 막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강력한 수소결합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명백한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ANF 막의 구조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PAMNFs의 제조 과정(ANFs의 탈양성자화 과정 → pANFs/PMIA → pAMNFs)을 설명하고, pANFs의 2차원 평면 수소결합 구조와 pAMNFs의 3차원 수소결합 구조를 비교하며, '나노섬유 정글 구조(Jungle Frame)'를 표시하고 이를 기계적 강도 관련 도표와 연관지었다.
l 핵심 전략: 아라미드 나노섬유(ANFs)를 처리하기 위한 '이중 탈양성자화' 전략을 도입하여 3차원 수소결합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및 엑스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사용하여 섬유의 표면 화학 구조를 분석하고 극성 작용기의 변화를 확인한다.
원자력 현미경(AFM) 및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섬유 및 멤브레인의 미세 표면 형상을 관찰하여 구조 최적화를 파악한다.
l 성능 시험:
만능시험기는 막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와 같은 기계적 성능 지표를 시험하는 데 사용됩니다. 레이저 열전도도 측정기는 막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고 열 절연 성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AFM(원자력 현미경) 높이 센서 이미지(AFM 높이 데이터가 각기 다른 위치에 표기됨: 6.2nm, 14.8nm, 47.9nm 등), SEM(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pANFs와 pAMNFs-30의 미세 형상 비교, 500nm 스케일), 상대압력-기공크기 분포 곡선, Barrett-Joyner-Halenda(BJH) 방법 기반 기공부피-기공크기 분포 곡선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처리 전후의 박막 미세구조 차이를 보여줍니다.
3차원 수소 결합 네트워크가 성공적으로 구축되었다. 이중 탈양성자화 효과는 아라미드 나노섬유(ANFs) 표면에 더 많은 극성 그룹을 생성하여 섬유 간의 3차원 수소 결합 네트워크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었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의 측정 결과, 처리 후 섬유 표면의 극성 기능 그룹 수가 크게 증가하여 수소 결합 형성을 위한 보다 많은 활성 부위를 제공했고, 결과적으로 안정된 3차원 수소 결합 네트워크 구축에 성공하게 되었다.
다양한 기계적 특성 데이터 차트를 제시합니다: pANFs와 다양한 PMIA 함량의 pAMNFs를 비교한 인장 변형-응력 곡선, pAMNFs에서 PMIA 함량과 특성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온도가 강도/인성에 미치는 영향 곡선, 그리고 pANFs와 pAMNFs-30 사이의 계면 하중 전달을 도식화한 다이어그램을 통해 기계적 특성 향상 효과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기계적 특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3차원 수소 결합 네트워크의 보강 효과를 활용함으로써 아라미드 나노섬유(ANF) 막의 기계적 특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실험 데이터는 처리되지 않은 아라미드 나노섬유 막에 비해 이중 탈양자화 처리 후 복합막(pAMNFs)의 인장강도가 여러 배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탄성 계수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여 고강도 재료 응용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에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스펙트럼(N-H 굽힘, C=O⋅⋅⋅H 신장, N-H 신장 피크 위치가 표시된 상태), X선 광전자 분광(XPS) C 1s 오비탈 결합 에너지 스펙트럼, 수소 결합 거리 분포 함수 곡선 및 수소 결합 수명 대 시간 곡선이 포함되어 있어, 이중 탈양성자화 이후 화학 구조의 변화 및 수소 결합 상호작용 증강 효과를 입증합니다.
열전도도가 크게 감소함.
3차원 수소 결합 네트워크의 존재는 열전달에 명확한 저해 효과를 미쳐 복합막(pAMNFs)의 열전도도가 크게 낮아지게 됩니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이 막의 열전도도는 매우 낮은 수준까지 감소할 수 있어 뛰어난 단열 성능을 보이며 단열 소재 분야에서 우수한 응용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Microstructure Optimization(미세구조 최적화)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원자력현미경(AFM)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에서 이중 탈양성자화 처리 후 막 내의 아라미드 나노섬유(ANFs)가 보다 규칙적으로 배열되었고, 섬유 간 결합이 더 단단해져 균일하고 조밀한 미세구조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최적화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 향상과 열전도도 감소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저장 탄성률/손실 탄성률-온도 곡선, 열전도율 비교 차트(pAMNFs-30의 열전도율은 0.0626 W·m⁻¹·K⁻¹까지 낮음), 열중량분석(TG) 곡선, 다양한 소재들의 인장강도 대 인성 비교 차트,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pAMNFs-30과 pANFs의 성능 변화 비교를 제시함으로써 박막의 기계적 및 열적 우수성을 종합적으로 입증합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중 탈양성자화(double deprotonation)" 전략은 아라미드 나노섬유(ANF) 막 내에 3차원 수소 결합 네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한다. 이는 막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전도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해당 방법은 조작이 간단하면서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며, 아라미드 나노섬유 소재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향후 이 고성능 복합막(pAMNFs)은 항공우주, 전자기기의 방열, 고성능 복합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 산업의 기술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2025-04-06
2025-04-05